그런데 이게 무슨 소리. 인터넷 통신언어 가운데 일부가 내년 새로 발간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릴수도 있단다. 8일 관련 기관 등에 따르면 국립국어원이 금주중으로 인터넷 통신언어 등이 실린 신조어 목록집 `사전에 없는말, 신조어'를 발간하고 이 가운데 일부 통신언어는 심의를 거쳐 9년만에 새로 발간되는 표준국어대사전의 보완판에 실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얼토당토 않은걸 집어 넣지는 않겠지 하는 생각이다.
국립국어원은 2000년부터 최근까지 신문, 방송 등이 사용한 3만5천개의 새로운 단어가 이번주 발간되는 신조어 목록집에 실릴 예정이며, 이 중에는 `낚시글', `악플러', `퍼간다', `캡처꾼', `된장녀', `완소남', `훈남', `딸친아(딸 친구의 아빠)' 등 최신 인터넷 유행어가 다수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정희창 국립국어원 연구관은 "인터넷 신조어 가운데 우리말 조어법에 맞고 외래어가 아닌 고유어로 구성되는 등의 기본 요건뿐 만 아니라 여러 세대에 걸쳐 수년 간 사회에서 통용되는 단어로 정착됐다고 판단되면 새 표준국어사전에 반영될 수 있다"고 밝혔다.
생각보다 아주 이상한 것들이 물망에 올라와 있는것은 아니었다. 현재 표준어 요건 충족에 가장 근접한 단어는 `누리꾼'이다. 세계를 뜻하는 '누리'에 사람을 나타내는 '꾼'으로 구성된 `누리꾼'은 `컴퓨터 통신에 참여하는 사람'의 뜻으로 국립국어연구원이 2004년 9월 네티즌의 우리말 대체어로 선정하면서 널리 통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누리꾼'과 달리 `악플러(악성댓글을 일삼는 누리꾼)', `조낸(몹시, 정말)' 등 인터넷 신조어 대다수가 외래어로 구성되거나 신조어 목록집에도 실리지 않은 욕설로 구성돼 있을 뿐만 아니라 유행어 성격이 짙어 규범사전의 성격을 지닌 표준국어대사전에 최종적으로 게재될 수 있는 통신용어는 소수에 그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어학계에서는 한글파괴 등 기존에 부각됐던 통신언어의 부정적인 면 외에 어휘 다양화 등 순기능에도 점차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창의성 있는 구어적 표현이나 의태어 등 생생한 표현 등 기존 표준어로 대체될 수 없는 새로운 어휘들이 통신언어를 통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국어실태연구팀장은 "의태어인 `샤방샤방'이라는 통신용어의 경우 `반짝반짝 빛난다'는 의미로 기존의 `예쁘다'는 말과는 또 다른 참신한 표현으로 볼 수 있다"며 "`샤방샤방', `휘리릭(온라인 상에서 먼저 로그아웃하는 모습)' 등 의미의 공백을 메우면서 우리말 어휘를 풍요롭게 하는 신조어는 사람들의 동의를 얻어 널리 지속적으로 통용될 경우 훗날에 표준어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내 생각과는 좀 다른데 국립국어원 관계자의 말이니 아마도 그쪽이 더 힘이 있겠지. 난 이분의 말이 더 신뢰가 간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민현식 교수는 "상당수의 인터넷 통신언어는 단순 준말이 많을 뿐더러 통용기간이 짧아서 표준어로 채택되기 보다는 그야말로 유행어로 존재하다 사라져갈 가능성이 높다"며 신중한 의견을 냈다.
이전에 없던 단어가 지금 생긴건데 몇년뒤에 없어지진 말란 법이 어디있을까. 한글날이 빨간날이 아닌것도 서러운데 그냥 막 만들어지는 만들은 국어사전에 들어가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글의 자존심을 지켜주고 싶다. 한글 별책부록 같은걸로 해서 만드는건 안되나.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