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스

C/S, WEB, RIA 비교
일단 하나는 기업들에게 프로그램을 주고 이용자가 편하게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이다. 인터넷 뱅킹이나 인터넷 쇼핑몰등은 물론 각 기업 메인 화면들은 업체 정보만 주는것이 아니라 이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장소로도 많이 이용된다. 또한 앉아서 클릭 한번으로 많은 곳을 돌아다니는 사람들은 눈이 점점 높아져 더 편하고 화려한 웹을 기대한다. 이에 따라 웹 트렌드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여기에 쓰이는 대표적인 기술이 차세대 웹환경인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RIA)다. RIA는 풍부한 유저 인터페이를 갖추고, 이용자 참여를 유도하며 개개인에 맞춤정보와 빠른 업무 처리 능력등을 지니고 있다. 특히 RIA는 플래시를 이용해 C/S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의 풍부한 사용자 경험이라는 장점과 웹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 접근성의 장점을 모두 결합할 수 있다. 종전 HTML보다 역동적인 화면 연출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단계 페이지가 아닌 원페이지에서 토탈 정보 제공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 중심의 새로운 웹 기술이다. 플렉스 기술로 만들어진 화면은 이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이점이 있다. (굳이 설명하면 몇가지 더 있지만 가장 큰 이유만) 이용자에게는 빠른 속도가 강점이다. 플렉스는 한번 로딩되면 그 다음부터는 서버로부터 실행코드를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실행속도가 빠르며 서버에 부하를 적게 준다. 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을 할 때 계좌이체나 잔액조회가 새로운 창이 아니라 같은 창에서 한번에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개발자들은 프로그램이 쉽다는 것이 강점이다. 플렉스는 표준을 준수하는 XML태그(mxml)과 액션스크립트로 코딩되므로 html코딩을 이해하는 수준정도면 쉽게 배울 수 있다. 더불어 기존 시스템의 세팅을 바꾸지 않더라도 플렉스 이식 가능해 어도비 플렉스 활용
플렉스 기술을 이용해 국내에서 구축된 웹사이트
웹과 데스크톱의 장점을 통합- AIR (어도비 통합 런타임; 코드명 아폴로)
AIR는 한마디로 인터넷을 열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것을 뜻한다. 여러 운영체제에서 Ajax, HTML, Flex, Flash, JavaScript를 실행하도록 해주는 통합 런타임(Runtime)으로, 브라우저 없이 RIA 컨텐츠를 볼 수 있다는 말이다. AIR는 웹 사이트와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스크톱과 통합되게 하며, 데스크톱에서 돌아가게 한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데스크톱에서 AIR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일때도 일관되게 접근할 수 있다. 인류를 달에 도착하게 한 우주왕복선의 이름이 아폴로이듯이, 개발 코드명 아폴로인 AIR는 웹 환경을 이용할 때 웹 브라우저를 벗어나게 하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AIR를 통해 미디어 플레이어, 메모장, 계산기, 윈도우 탐색기, 인터넷 뱅킹, 쇼핑몰, 웹-데스크톱 연계 오피스 등 풍부한 멀티미디어가 통합된 각종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로컬 시스템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브라우저 내부와 외부에서 RIA를 다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쓰면 사용자들이 더 이상 웹 브라우저를 열거나 이메일을 확인할 필요 없이 최신의 정보를 찾을 수 있다.
[AIR 애플리케이션 예] – eBay
인터랙티브 리치 미디어 배포- 플래시 미디어 서버(FMS) 3